리스트

    파이썬 문법 정리 1. <리스트, 문자열, 튜플,딕셔너리,Set>

    파이썬 문법 정리 1. <리스트, 문자열, 튜플,딕셔너리,Set>

    알고리즘 공부를 하면서 파이썬의 기초적인 문법들과 라이브러리들을 확실히 알고 쓰는게 좋을거같아서 복습하는겸 정리하는 게시글 리스트 자료형 리스트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담아 처리하기 위해 사용한다. 파이썬의 리스트 자료형은 C나 자바와 같이 내부적으로 배열(Array)를 채택하고 있고 동시에 연결 리스트 자료구조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append(), reverse() 등의 메서드를 지원한다. 리스트 만들기 리스트는 대괄호([])안에 원소를 넣어 초기화하며 쉼표(,)로 원소를 구분한다. 리스트의 원소에 접근할 때는 인덱스 값을 괄호 안에 넣는다. 비어있는 리스트를 선언하고자 할 때는 대괄호를 이용할 수 있다 a = [1, 2, 3, 4, 5, 6, 7, 8, 9] print(a) # => [1,..

    1. 알고리즘 공부  배열, 리스트 (파이썬 네이티브 코드로 구현하기)

    1. 알고리즘 공부 배열, 리스트 (파이썬 네이티브 코드로 구현하기)

    1. Array (배열) 배열은 크기가 정해진 데이터의 공간. 한 번 정해지면 바꿀 수 없다. 배열은 각 원소에 즉시 접근할 수 있다. 여기서, 원소의 순서는 0부터 시작하고 이를 인덱스라 부른다. 배열은 원소를 중간에 삽입/삭제 하려면 모든 원소를 다 옮겨야 한다. 원소를 새로 추가하려면, 새로운 공간을 할당해야 하므로 매우 비효율적인 자료구조. 2. Linked List(링크드 리스트) 혹은 리스트(List) 리스트는 크기가 정해지지 않은 데이터의 공간 리스트는 특정 원소에 접근하려면 오래 걸린다. 리스트는 원소를 중간에 삽입/삭제 하기 위해서 앞 뒤의 포인터만 변경하면 된다. 즉 원소 삽입/삭제가 간단하다. 배열과 리스트의 차이 배열 : 배열의 끝에서만 추가/삭제 연산을 하거나 추가/삭제 연산이 없..